<하단 주석> 순자 - 3 - 불구 - 11 - 군자는 태도에 따라 우가 될 수도 있고, 걸이 될 수도 있다(재번역 예정)

2021. 12. 3. 14:09순자 이야기/원문 번역(하단 주석)

반응형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인의 느낌과 의견입니다. 아무 의견도 없이 남의 주석을 읽으면 그것은 주석자의 생각으로 자기 생각을 덧씌우는 것밖에 안 됩니다. 먼저 스스로 이해해 보길 추천드립니다.

(음영)으로 처리해 둔 주석을 보기 불편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래서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고, 원래 (음영)으로 처리해 둔 주석을 숫자로 바꾸고 하단으로 내려 두었습니다. 원래 글은 물론 원래 카테고리에 있습니다. 주석을 하단으로 내리니까 정작 중요한 주석과 중요하지 않은 주석을 구별하기가 너무 힘들어 지더라구요. 그래서 본문에다가 '*' 같은 것으로 표시해 둘까, 혹은 다르게 어떻게든 표시할까 고민을 많이 했지만, 결국 그렇게 하느니 원안을 보존하고 새로 글을 파 두는 게 낫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보기가 편한 것이 우선이냐, 주석이 우선이냐, 모두 일리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두 가지를 한꺼번에 만족시킬 수는 없었습니다. 본인 편한 방식에 맞게 글을 봐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주석의 형식을 제외하고는 모두 같습니다. [괄호]는 본문에 생략되어 있을 만한 말을 자연스럽게 읽게 하기 위해 제가 임의로 집어 넣은 말입니다. [괄호]는 본문과 이어 읽으면 좋습니다. 간혹 대화체에 있는 <괄호>는 한 사람의 말이 길게 이어질 때 다음에 이어지는 말이 누구의 말인지 표시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처음에는 [보충하는 말] 없이 하려 했지만, 고대 한문이 현대 한국어 어법과 상이하고, 논증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어 불가피하게 넣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순자》 번역에는 을유문화사에서 나온 김학주(金學主)의 2017년 번역, 자유문고에서 나온 이지한(李止漢)의 2003년 번역, 그리고 전통문화연구회에서 나온 송기채(宋基采)의 번역, 그리고 각 책의 주석을 참고해서 직접 했습니다. 공부하시는 데 참고하실 수는 있지만, 번역 결과를 무단으로 이용하실 수는 없습니다. 번역에 참고한 서적을 제가 밝혔듯이, 이 글의 내용을 참고해서 사용하실 때는 그 출처인 이 블로그를 반드시 밝히셔야 합니다.

* 《순자》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는 유형주와 상의한 것이 아주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잘 읽으셨다면, 혹은 유익하다면 공감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로그인 안 해도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2021년 10월 5일 10시 32분에 처음 작성되었습니다.

 

 

해설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https://philosophistory.tistory.com/240

 

순자 - 3 - 불구 - 해설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

philosophistory.tistory.com

 

 

주석을 본문과 함께 보고 싶으시다면 다음 글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https://philosophistory.tistory.com/237

 

순자 - 3 - 불구 - 11 - 군자는 태도에 따라 우가 될 수도 있고, 걸이 될 수도 있다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

philosophistory.tistory.com

 

 


 

 

公生明,偏生闇,端慤生通,詐僞生塞,誠信生神,夸誕生惑。此六生者,君子之,而禹、桀所以分也。

 

공하면 명할 것이요[각주:1], 편하면 암할 것이다.[각주:2] 단각하면 통할 것이고[각주:3] 사위하면 색할 것이다.[각주:4] 성신하면 신[명]해질 것이요[각주:5], 과탄하면 혹하고 말 것이다.[각주:6]

군자는 이 여섯 가지를[각주:7] [특히] 주의한다.[각주:8] [명, 통, 신, 그리고 암, 색, 혹은 각각 군자가] 우[처럼 어진 정치가]가 되느냐, 걸[처럼 나라를 망친 놈]이 되느냐의[각주:9] 갈림길이기[각주:10] 때문이다.[각주:11]

 

 

 

  1. 公生明, 公은 '공정함', 明은 '명철함', '총명함'이다. 生은 '낳다', '생기다'인데, 여기서는 '야기하다', '일으킨다', '~하면 ~하다'로 보면 더 타당하겠다. 직역하면 '공정함은 명철함을 낳는다'가 된다. [본문으로]
  2. 偏生闇, 闇은 '어둡다', '희미하다', '어리석다', '우매하다', 偏은 '치우치다', '편협하다', '궁벽하다' [본문으로]
  3. 端慤生通, 端은 '올바르다', 慤은 '성실하다', 즉 端慤은 '올바르고 성실하다', '똑바르다'는 말이다. 순자는 通은 窮의 반의어로 사용한다. 다만 이 다음 문구에서는 詐僞生塞이라고 하여 窮 대신 塞이 通과 대립되는 말로 사용되었다. 塞은 '색'으로 읽으면 '막히다', '꽉 막혀 있다'는 뜻이므로, '궁벽하다', '빈궁하다', '처지가 좋지 않다'는 窮과 같다. 따라서 通은 '처지나 상황이 좋은 모습', '만사형통하다', '일이 잘 풀린다'는 뜻이라고 보아야 한다. [본문으로]
  4. 詐僞生塞, 詐는 '속이다', '기만하다', '거짓말하다', 僞는 '거짓', '속이다', '거짓말하다', 즉 詐僞는 '거짓되게 행동하는 모습'이다. 塞은 '색'으로 읽는다. '막히다', '처지가 좋지 않은 모습'이라는 뜻이다. 窮과 같고, 通과 반대다. [본문으로]
  5. 誠信生神, 誠은 '진실한 모습', '정성을 다하는 모습', '마음을 쏟는 모습', 信은 '성실한 모습', '믿음직한 모습', '신실한 모습', 따라서 誠信은 '진실하고 신실한 모습'을 뜻한다. 神은 원래 '신명스럽다', '신비롭다', '신기가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는 惑과 상반되어야 하므로, '통찰력이 있다'라고 해석하면 가장 타당하겠다. [본문으로]
  6. 夸誕生惑, 夸는 誇, '자랑하다', '우쭐대다', '교만하게 군다', 誕은 '과장하다', '허풍을 떨다', '허황되다', 따라서 夸誕은 '허세를 부리며 우쭐대는 모습'을 뜻한다. 惑은 '미혹되다', '현혹되다'는 말이다. [본문으로]
  7. 此六生者, 此는 公生明, 偏生闇, 端慤生通, 詐僞生塞, 誠信生神, 夸誕生惑을 가리킨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전제와 결론 중 하나만 생각해야 한다면, 결론인 明, 闇, 通, 塞, 神, 惑이라고 보아야 한다. 此六生者는 '이 여섯 가지가 생겨나는 일'을, 즉 결과를 바로 지칭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본문으로]
  8. 愼之, 愼은 誠이 아니라 謹, '삼가다'이다. 之는 此六生者, 즉 明, 闇, 通, 塞, 神, 惑을 지칭한다. [본문으로]
  9. 禹桀, 禹는 夏나라의 시조로 성군이고, 桀은 夏나라의 마지막 왕인 폭군이다. [본문으로]
  10. [본문으로]
  11. 所以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