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단 주석> 장자 내편 - 7 - 응제왕 - 7 - 숙과 홀이 혼돈에게 구멍을 뚫다(끝)

2021. 9. 10. 12:22장자 내편 이야기 - 완결/원문 번역(하단 주석)

반응형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인의 느낌과 의견입니다. 아무 의견도 없이 남의 주석을 읽으면 그것은 주석자의 생각으로 자기 생각을 덧씌우는 것밖에 안 됩니다. 먼저 스스로 이해해 보길 추천드립니다.

* (음영)으로 처리해 둔 주석을 보기 불편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래서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고, 원래 (음영)으로 처리해 둔 주석을 숫자로 바꾸고 하단으로 내려 두었습니다. 원래 글은 물론 원래 카테고리에 있습니다. 주석을 하단으로 내리니까 정작 중요한 주석과 중요하지 않은 주석을 구별하기가 너무 힘들어 지더라구요. 그래서 본문에다가 '*' 같은 것으로 표시해 둘까, 혹은 다르게 어떻게든 표시할까 고민을 많이 했지만, 결국 그렇게 하느니 원안을 보존하고 새로 글을 파 두는 게 낫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보기가 편한 것이 우선이냐, 주석이 우선이냐, 모두 일리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두 가지를 한꺼번에 만족시킬 수는 없었습니다. 본인 편한 방식에 맞게 글을 봐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주석의 형식을 제외하고는 모두 같습니다. [괄호]는 본문에 생략되어 있을 만한 말을 자연스럽게 읽게 하기 위해 제가 임의로 집어 넣은 말입니다. [괄호]는 본문과 이어 읽으면 좋습니다. 간혹 대화체에 있는 <괄호>는 한 사람의 말이 길게 이어질 때 다음에 이어지는 말이 누구의 말인지 표시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처음에는 [보충하는 말] 없이 하려 했지만, 고대 한문이 현대 한국어 어법과 상이하고, 논증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어 불가피하게 넣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내편》 번역에는 혜원출판사에서 나온 이민수(李民樹)의 2007년 번역, 현암사에서 나온 안동림(安東林)의 2019년 번역, 그리고 전통문화연구회에서 나온 안병주(安炳周)와 전호근(田好根)의 번역, 그리고 각 책의 주석을 참고해서 직접 했습니다. 공부하시는 데 참고하실 수는 있지만, 번역 결과를 무단으로 이용하실 수는 없습니다. 번역에 참고한 서적을 제가 밝혔듯이, 이 글의 내용을 참고해서 사용하실 때는 그 출처인 이 블로그를 반드시 밝히셔야 합니다.

* 《내편》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는 최범규, 유형주, 홍용현과 상의한 것이 아주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잘 읽으셨다면, 혹은 유익하다면 공감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로그인 안 해도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2021년 8월 30일 11시 6분에 처음 작성되었습니다.

 

 

해설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https://philosophistory.tistory.com/116

 

장자 내편 - 7 - 응제왕 - 해설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

philosophistory.tistory.com

 

 

주석을 본문과 함께 보고 싶으시다면 다음 글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https://philosophistory.tistory.com/115

 

장자 내편 - 7 - 응제왕 - 7 - 숙과 홀이 혼돈에게 구멍을 뚫다(끝)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

philosophistory.tistory.com

 

 


 

 

** 이 글은 책으로 출판되어 교보문고를 통해 유통되고 있습니다. 전문을 다 읽으시려면 책을 구입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莊子內篇孃注》, 李相珉, 책과세계)

 

**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 내용은, 번역문 전체 및 주석 일부입니다. 그러나 번역문과 주석 모두 중간 부분을 {...}라는 표시로 비워 뒀습니다. 책을 구입하기 전 열람할 수 있는 견본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전자책으로도 출판되었습니다. 교보문고와 리디북스 두 개 서점을 통해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 가능한 링크는 아래에 기재해 두었습니다.

 

1.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3332426(양장본, 품절)

 

2.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9069155(문고판, 상권 및 하권으로 분절, 세트로 판매, 재고 있음)

 

 

3. 전자책

 

3-1. 교보문고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405

(전자책, 교보문고, 합본)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311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315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316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335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363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392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410397

(전자책, 교보문고, 편별로 분권)

 

 

3-2. 리디북스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8?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1

(전자책, 리디북스, 합본)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1?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4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2?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5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3?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6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4?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7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5?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3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6?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8

https://ridibooks.com/books/5392000007?_s=search&_q=%EC%9E%A5%EC%9E%90%EB%82%B4%ED%8E%B8&_rdt_sid=search&_rdt_idx=2

(전자책, 리디북스, 편별로 분리)

 

 

7-7

 

南海之帝爲儵,北海之帝爲忽,中央之帝爲渾沌。儵與忽時相與遇於渾沌之地,渾沌待之甚善。儵與忽謀報渾沌之德,曰:

 

「人皆有七竅 以視聽食息,此獨無有,嘗試鑿之。」

 

日鑿一竅,七日而渾沌死。

 

남해의 제왕은 숙이라고 하고, 북해의 제왕은 홀이라고 하며, 중앙의 제왕은 혼돈이라고 한다.[각주:1] 숙과 홀은 {...} 보답할 일을 의논하면서 말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 있어야 할 것이 없으니 {...} 뚫어 주자."

 

[그래서 숙과 홀은 혼돈에게] 하루에 하나씩 구멍을 {...} 혼돈이 죽고 말았다.

 
 
  1. 南海之帝爲儵/北海之帝爲忽/中央之帝爲渾沌, ◈ 南海之帝의 {...} ◈ 爲儵의 爲는 용언으로, {...} 《史記》 「司馬相如列傳」에 儵眒淒浰, {...} 裴駰은 漢書音義曰/皆疾貌, '《漢書音義》에는 {...} 있다'라고 하였다. 《漢書音義》는 吳나라 韋昭의 저작이다. 《漢書》 「司馬相如傳」에도 {...} 있는데, 顏師古는 儵然夐然/疾遠貌, {...} 하였다. 《文選》에 수록되어 있는 楊雄의 「甘泉賦」에 電儵忽於牆藩, {...} 말이 있는데, 李善은 儵忽/疾貌也, {...} 하였다. 「大宗師」에 翛然而往/翛然而來而已矣, {...} 말이 있는데, 이에 대해 陸德明은 本又作儵, '판본에 {...} 하다'라고 하였다. 즉, 「大宗師」의 翛와 이 부분의 「應帝王」의 儵은 같은 말일 수 있겠다. 陸德明은 또, 向云/翛然/自然無心而自爾之謂///郭崔云/往來不難之貌///司馬云/儵/疾貌///李同, {...} 하였다. 司馬彪와 李頤의 풀이가 본문의 儵과 같다. 이 점 역시 참고할 만하겠다. 본문에 대해, 安東林은 儵을 {...} 했는데, 의미를 이렇게 확장해 볼 수야 있겠지만, 다른 근거가 있는 {...} 渾沌에 대한 陸德明의 주석을 참고해 보면, 簡文帝는 儵과 忽에 대해 儵忽取神速爲名, {...} 하고, 神速譬有爲, {...} 하였다고 한다. ◈ 忽은 사람 이름이다. 忽 역시 儵처럼 {...} 이렇게 본 것인지는 모르겠다. 《說文解字》 「心部」에 忽/忘也//从心勿聲, {...} 말이 있고, 《爾雅》 「釋詁」에는 觳/悉/卒/泯/忽/滅/罄/空/畢/罊/殲/拔/殄/盡也, {...} 근거로 삼을 수는 있겠다. 成玄英은 北是幽闇之域/故以忽爲無, {...} 하였다. 陸德明은 李云/喻無形也, '李頤는 {...} 하였다'라고 했다. 한편, 渾沌에 대한 陸德明의 주석을 참고해 보면, 簡文帝는 儵과 忽에 대해 儵忽取神速爲名, {...} 하고, 神速譬有爲, {...} 한다. ◈ 渾沌은 사람 이름이다. 混沌, 倱伅과 같다. {...} 이른다. 渾은 {...} 대조를 이룬다. 《外篇》 「在宥」에 各復其根而不知/渾渾沌沌/終身不離, {...} 말이 있는데, 여기서 渾渾沌沌은 아마 道의 이치와 {...} 道를 가리킨다. 《淮南子》 「詮言訓」에 洞同天地/渾沌爲樸/未造而成物/謂之太一, {...} 있으니, 渾沌은 아마 '뒤섞인 모습'을 이를 것이다. 《呂氏春秋》 「仲夏紀 大樂」에 渾渾沌沌/離則復合/合則復離/是謂天常, {...} 말이 있다. 이 渾渾沌沌 역시 {...} 이를 것이다. 《鶡冠子》 「泰鴻」에는 渾沌不分, {...} 뜻한다. 《孫子兵法》 「兵勢」에는 渾渾沌沌/形圓/而不可敗也, {...} 말이 있다. 여기서 渾渾沌沌은 '뒤섞여서 둥근 모습'을 이를 것이다. 이 글들에 나오는 渾沌 혹은 渾渾沌沌은 모두 {...} 이른다. 또, 「齊物論」에 滑涽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 본문에 대해 成玄英은 中央既非北非南/故以渾沌爲非無非有者也, '中央은 {...}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이 설 역시 설득력이 있다. 분별이 없으므로 有, 無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成玄英은 「大宗師」에 나오는 參寥에 대해 參/三也//寥/絕也//一者絕有/二者絕無/三者非有非無/故謂之三絕也, {...} 하였는데, 이 말도 주의해 볼 만하다. 한편 陸德明은 胡本反//徒本反//崔云/渾沌/無孔竅也///李云/清濁未分也//此喻自然///簡文云/儵忽取神速爲名/渾沌以合和爲貌//神速譬有爲/合和譬無爲, {...} 하였다. ◈◈ 孃破案 : 《史記》 「五帝本紀」에는 昔帝鴻氏有不才子/掩義隱賊/好行凶慝/天下謂之渾沌, {...} 있다. 張守節은 杜預云/渾沌/不開通之貌, {...} 하였고, 또 東方朔의 《神異經》을 인용하며, 人有德行而往扺觸之/有凶德則往依憑之//名渾沌, {...} 하였다. 물론 「五帝本紀」의 渾沌은 어떠한 상태가 아니라, 특정한 {...} 이 점을 대조해 보고자 예로 들었다.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