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성전투와 석문전투(삼국사기 문무왕본기 중)
2020. 4. 28. 10:06ㆍ삼국사기 이야기(잡설)/신라본기 이야기
반응형
* 잘 읽으셨다면, 혹은 유익하다면 공감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로그인 안 해도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나오는 지명들을 다음 지도를 통해 이해하시면 글을 한층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달마시안의 한국 고대 지도 링크
신라가 사비 지역에 소부리주를 만들어서 사실상 옛 백제 영토에 대한 전역이 마무리되었을 때, 탁발선비는 야만족 이근행과 야만족 고간을 보내 평양에서 남진하게 합니다.
백제가 망하고 웅진, 사비 지역 외의 백제 영토에 백제 사람들이 그대로 남아있었던 것처럼, 고구려도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고구려 유민들은 대방 지역에서 검모잠을 중심으로 다시 나라를 세웠는데, 그 수도는 아마 한성이었던 것 같습니다. 아마 지금의 재령일 겁니다.
신라가 요동을 공격할 때 연합했던 고구려군도 한성의 고구려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옛 백제 영토는 신라가 직접 공격해 합병했지만, 그 동안 임진강, 예성강 이서, 이북 지역에 대해서는 한성 고구려를 지원하면서 탁발부에 대한 방파제를 만드는 것을 일단 목표로 두었던 것 같습니다.
이에 탁발부는 이근행과 고간을 보내 먼저 대동강 하류의 성들을 공략하고, 그 이후에 괴뢰 고구려를 공격하게 합니다.
괴뢰 고구려와 신라는 백수성(재령?)에서 탁발부를 크게 이기지만, 추격하다가 석문(서흥 서부?)에서 크게 패해 주요 지휘관들이 전사하고 맙니다.
이후 전투가 예성강, 임진강, 강원도 북부에서 전개되는 것으로 볼 때, 신라는 석문전투 이후 대방 전역을 완전히 포기하고, 괴뢰 고구려도 붕괴해 안승 등이 금마군(익산)으로 망명한 것 같습니다.
반응형
'삼국사기 이야기(잡설) > 신라본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흠돌의 난(삼국사기 신문왕본기 중) (0) | 2020.04.28 |
---|---|
매초성전투와 기벌포전투(삼국사기 문무왕본기 중) (0) | 2020.04.28 |
나당전쟁에 대한 당과 신라의 입장(삼국사기 문무왕본기 중) (0) | 2020.04.28 |
나당전쟁의 원인 및 신라의 요동 공격(삼국사기 문무왕본기 중) (0) | 2020.04.28 |
취리산 회맹(삼국사기 문무왕본기 중)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