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특수 용례 사전 - 12 - 田 - 사냥하다, 수렵하다

2025. 3. 4. 08:15한자 특수 용례 사전

반응형

 

* 《한자 특수 용례 사전》은 저와 유자(柳子)가 한자가 주요하지 않은 의미로 사용된 사례를 정리한 글입니다. 예를 들어, 若은 '같다'는 말이고, 이 것이 주요한 의미입니다. 그러나 '따르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고, '너'처럼 2인칭 대명사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것이 주요하지 않은 의미입니다.

* 첫 부분에는 글자의 의미에 대해 대체적으로 설명해 두었습니다. 그 뒤에는 문헌들에서 글자가 그렇게 사용된 용례를 수록였습니다. 마지막에는 저와 유자가 직접 그 글자를 사용해서 쓴 예문을 기재해 두었습니다.

* 선진 시대나 양한 시대 문헌들을 공부하는 분들은 한자가 주요하지 않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를 많이 조우하게 될 것입니다. 그런 분들께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용례를 찾을 때는 다음 한자 사전, 《강희자전》을 주로 이용하였고, 필요할 경우 선진 시대나 양한 시대 문헌들과 그 주석들을 직접 뒤졌습니다.

* 웹 데이터베이스로는 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zh)을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 풀이

 

田은 畋이나 佃과 통용되는 글자로, ‘사냥하다’, ‘수렵하다’는 뜻이다. 속자로는 𤝗이라고 쓴다. 獵과 같다. 특히 선진 시대 문헌에서 용례가 많이 발견된다. 田은 본래 ‘밭’인데, 왜 ‘사냥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되었을까. 아마 고대 중국인들이 밭에서 사냥을 하였기 때문일 듯하다. 상기하였듯 田은 獵과 같으니, 두 글자를 붙여서 田獵이라고 사용한 사례도 많다. 田獵 역시 ‘사냥하다’는 뜻이다.

 

 

 

● 용례

 

ㄱ. 《易》 「恆」에 田无禽, ‘田하였으나 날짐승이 없다’는 말이 있는데, 孔穎達은 田者/田獵也, ‘田은 수렵하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ㄴ. 《詩》 「國風 鄭風」의 「叔于田」에 叔于田/巷無居人, ‘叔이 田하였으나, 巷에는 있는 사람이 없다’라는 말이 있는데, 毛亨과 朱熹는 田/取禽也, ‘田은 날짐승을 취하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孔穎達은 田을 田獵, ‘수렵’이라고 해석하였고, 또 毛亨의 주석에 대해 田者/獵之別名/以取禽於田/因名曰田/故云/田/取禽也, ‘田은 수렵의 다른 명칭이다. 田에서 날짐승을 취하니, 그에 따라 田이라고 한 것이다. 그래서 毛亨이 “田은 날짐승을 취하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라고 했다.

 

ㄷ. 《莊子》 「齊物論」에 夢哭泣者/旦而田獵, ‘꿈 속에서는 울던 사람이 아침에는 田獵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田獵은 한 단어로 사용되었다. 獵이 ‘사냥하다’, ‘수렵하다’는 말이니, 田 역시 獵과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즉, 田은 ‘사냥하다’는 말이다.

 

ㄹ. 《周禮》 「夏官司馬」에 田僕/掌馭田路/以田以鄙, ‘田僕은 田路에서 말을 부리는 일을 관장하고, 이로써 田하고 鄙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에 대해 鄭玄은 田/田獵也, ‘田은 사냥하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ㅁ. 《周禮》 「地官司徒」에 若國作民而師/田/行/役之事, ‘만약 나라에서 백성들을 동원해서는 군대를 일으키거나, 田하거나, 순행하거나, 노역을 일으키려 한다면’이라는 말이 있는데, 賈公彦은 田謂田獵, ‘田은 사냥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ㅂ. 《春秋穀梁傳》 「桓公」 4년에 四時之田/皆爲宗廟之事也//春曰田/取獸於田, ‘사계절 동안 田하는 것은 모두 종묘의 일을 이루기 위해서이다. 봄에 하는 것은 田이라고 하니, 밭에서 짐승을 잡는다는 말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范寧은 四時之田을 四時田獵, ‘사계절의 사냥’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즉, 田 역시 ‘사냥’이다.

 

 

 

● 예문

 

ㄱ. 양파는 늘 멍멍이를 사냥한다.

孃破常田亡亡.

 

ㄴ. 사자는 어릴 때부터 사냥하는 방법을 배운다.

獅子自幼稚之時習田獵之方也.

 

ㄷ. 초코는 고양이를 사랑하여 쫓았으나, 고양이들은 자기들을 사냥하는 줄 알고 도망쳤다.

蜀虎愛貓以追, 諸貓以爲己田以亡.

 

ㄹ. 양파의 선조들은 밭에서 쥐를 잡았는데, 그래서 사냥을 전(田)이라고 하였다.

孃破之祖, 獵鼠於田, 故曰獵以田.

 

ㅁ. 양파는 용을 잡고, 강아지는 호랑이를 잡았으며, 멍멍이는 여우를 잡았으니, 초코가 두려워했다.

孃破田龍, 强亞地取虎, 亡亡捕𧲲, 蜀虎恐之.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