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 3 - 전 2장

2022. 3. 18. 19:30개인 공부(추후 재배치 예정)/대학

반응형

 

<전 2장>

 

湯之盤銘曰:「苟日新,日日新,又日新。」

 

(湯)의 대야(盤, 물을 받아 두는 '대야'를 이른다.)에 이런 말이 새겨져(銘, '돌이나 금속에 글자를 새기는 것') 있었다.

 

"어느 날 진정 쇄신하였다면(苟日新), 날마다 쇄신하고(日新, '날마다 날로 쇄신하다'), 또 날마다 쇄신해야 한다.(又日新)"(이 말은 출처를 찾을 수가 없다. 「대학」 이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대학집주>

 

盤,沐浴之盤也。銘,名其器以自警之辭也。苟,誠也。湯以人之洗濯其心 以去惡,如 沐浴其身 以去垢。故銘其盤,言誠能一日有以滌其舊染之污而自新,則當因其已新者,而日日新之,又日新之,不可略有間斷也。

 

(盤)은 목욕하는 대야(沐浴之盤)다. 명(銘)은 [탕이] 자기 그릇에(其器) 스스로 경계하는 말(自警之辭, 警은 '경계하다')로 이름을 붙인(名)이다. 구(苟)는 진실로(誠)라는 말이다. 탕(湯)은 사람이 자기 마음을 세탁하여(人之洗濯其心, 洗는 '씻다', 濯은 '씻다', '빨다', 其는 ) 악한 부분을 없애는 것을(以去惡), 자기 몸을 목욕해서(沐浴其身, 其는 人, 沐은 '머리를 감다', 浴은 '씻다') 때를 없애는 것(以去垢, 垢는 '때')처럼(如) 생각했다. 그래서(故) 자기 대야에 [말을] 새겨서는(銘其盤), 하룻동안 진정(誠) 자신의 구염한 때(舊染之污, 其는 )를 스스로 쇄신할(自新)(能) 있었다면, 마땅히(當) 이미 쇄신한 경험을 가지고서(因其已新者, 已는 '이미', 其는 ), 날마다 쇄신하고(日日新之, '날마다 날로 쇄신하고'), 또 날로 쇄신해야 하니(又日新之), 약간이라도(略) 그 중간에 [쇄신이] 멈출 때가 있으면(有間斷, 斷은 '끊기다') 안 된다(不可)는 점을 이야기한(言) 것이다.

 

 

 

 

<전 2장>

 

康誥曰:「作新民。」

 

「강고」(康誥)에 이런 말이 있다.

 

"[은나라] 백성들을 쇄신시켜야 한다."(원문은 已/汝惟小子/乃服惟弘王應保殷民/亦惟助王宅天命/作新民, '그만 둘 수 있겠느냐, 너, 小子야. 너는 왕의 정치를 넓히고, 하늘에 순응하며, 은나라 백성들을 보호해야 한다. 또한 왕을 도와 천명을 안정시키고, 백성들을 쇄신시켜야 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쇄신시켜야 하는 백성은 '은나라 사람'들이다. 다만 作新民의 新은 親, '보호하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앞에 保殷民이라는 말이 있기 때문이다.)

 

 

<대학집주>

 

鼓之舞之之謂作,言振起其自新之民也。

 

북을 쳐서 춤을 추게 하[듯 사람들이 저절로 일어나게 하는]는 것을(鼓之舞之, 문장을 고려할 때 '고무하다', '북돋아 주다'는 뜻으로 보인다.)(作)이라고 하니, 스스로 쇄신하는 백성들(自新之民)을 일으키는(振起, 振은 '떨치다', 起는 '일어나다', 즉 振起는 '떨쳐 일어나다'는 말이다.) 것을 이른다.

 

 

 

 

<전 2장>

 

詩曰:「周雖舊邦,其命惟新。」

 

《시》에 이런 말이 있다.

 

"주나라가 비록 오래된 나라이지만(周雖舊邦), [문왕에 이르러] 주나라의 명은 새로워졌다.(其命惟新, 其는 周, 惟는 의미 없는 조사로 보인다.)"(원문은 《시》 「 文王之什」의 「文王」이다. 《시》에는 惟가 아니라 維라고 되어 있다. 제목처럼 文王의 정치를 찬미하는 내용이다. 朱熹는 周雖舊邦/而命則新/則其命時矣, '周나라가 비록 오래된 나리이지만, 命이 새로워졌으니, 周나라의 명은 때에 들어 맞는다'라고 하였다.)

 

 

<대학집주>

 

詩大雅文王之篇。言周國雖舊,至於文王,能新其德以及於民,而始受天命也。

 

《시》 「대아」의 「문왕」편이다. 주나라가 비록 오래 되었지만, 문왕의 시대에 이르러(至於文王), 나라의 덕을 쇄신하고(新其德), [그 덕을] 백성들에게까지 베풀(及於民)(能) 있었으니, 비로소(始) 천명을 받았다(受天命)는 뜻이다.(言)

 

 

 

 

<전 2장>

 

是故 君子無所不用其極。

 

이러한 이유로(是故), 군자는 [백성을] 쇄신하기를(用其, 用은 '하다'는 말로 보인다. 其는 앞의 내용과, 이 장을 마무리하는 말을 감안해 볼 때, 新 또는 新民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러나 新民이 더 타당하겠다.) 지극히(極) 하지 않는(不) 경우가(所) 없다.(無)

 

 

<대학집주>

 

自新新民,皆欲止於至善也。

 

[군자가] 자신을 쇄신하고, [또] 백성들을 쇄신시키고자 하는 것은(自新新民) 모두 지선에 [이르러서] 머물고(止於至善)(欲) 하기 때문이다.

 

 

 

 

<대학집주>

 

右傳之二章。釋新民。

 

이상(右)은 전 2장으로(傳之二章), 신민(新民)을 풀이하였다.()

 

반응형

'개인 공부(추후 재배치 예정) > 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 4 - 전 3장  (0) 2022.03.20
대학 - 2 - 전 1장  (0) 2022.03.18
대학 - 1 - 경  (0) 2022.03.11
대학 - 기타 - 대학장구서(주희)  (2) 2022.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