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단 주석> 순자 - 1 - 권학 - 4 - 세상사는 끼리끼리 일어난다

2021. 9. 24. 10:07순자 이야기/원문 번역(하단 주석)

반응형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인의 느낌과 의견입니다. 아무 의견도 없이 남의 주석을 읽으면 그것은 주석자의 생각으로 자기 생각을 덧씌우는 것밖에 안 됩니다. 먼저 스스로 이해해 보길 추천드립니다.

* (음영)으로 처리해 둔 주석을 보기 불편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래서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고, 원래 (음영)으로 처리해 둔 주석을 숫자로 바꾸고 하단으로 내려 두었습니다. 원래 글은 물론 원래 카테고리에 있습니다. 주석을 하단으로 내리니까 정작 중요한 주석과 중요하지 않은 주석을 구별하기가 너무 힘들어 지더라구요. 그래서 본문에다가 '*' 같은 것으로 표시해 둘까, 혹은 다르게 어떻게든 표시할까 고민을 많이 했지만, 결국 그렇게 하느니 원안을 보존하고 새로 글을 파 두는 게 낫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보기가 편한 것이 우선이냐, 주석이 우선이냐, 모두 일리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두 가지를 한꺼번에 만족시킬 수는 없었습니다. 본인 편한 방식에 맞게 글을 봐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주석의 형식을 제외하고는 모두 같습니다. [괄호]는 본문에 생략되어 있을 만한 말을 자연스럽게 읽게 하기 위해 제가 임의로 집어 넣은 말입니다. [괄호]는 본문과 이어 읽으면 좋습니다. 간혹 대화체에 있는 <괄호>는 한 사람의 말이 길게 이어질 때 다음에 이어지는 말이 누구의 말인지 표시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처음에는 [보충하는 말] 없이 하려 했지만, 고대 한문이 현대 한국어 어법과 상이하고, 논증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어 불가피하게 넣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순자》 번역에는 을유문화사에서 나온 김학주(金學主)의 2017년 번역, 자유문고에서 나온 이지한(李止漢)의 2003년 번역, 그리고 전통문화연구회에서 나온 송기채(宋基采)의 번역, 그리고 각 책의 주석을 참고해서 직접 했습니다. 공부하시는 데 참고하실 수는 있지만, 번역 결과를 무단으로 이용하실 수는 없습니다. 번역에 참고한 서적을 제가 밝혔듯이, 이 글의 내용을 참고해서 사용하실 때는 그 출처인 이 블로그를 반드시 밝히셔야 합니다.

* 《순자》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는 유형주와 상의한 것이 아주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잘 읽으셨다면, 혹은 유익하다면 공감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로그인 안 해도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2020년 5월 1일 16시 46분에 처음 작성되었습니다.

 

 

해설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https://philosophistory.tistory.com/176

 

순자 - 1 - 권학 - 해설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

philosophistory.tistory.com

 

 

주석을 본문과 함께 보고 싶으시다면 다음 글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https://philosophistory.tistory.com/169

 

순자 - 1 - 권학 - 4 - 끼리끼리 모인다

* 철학서를 읽을 때는 아무 주석(특히 철학적 의미에 관한 주석)도 읽지 않고 원문 또는 번역문을 읽어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자의 의도도 있고, 주석자의 의도도 있겠으나, 제일 중요한 것은 본

philosophistory.tistory.com

 

 


 

 

物類之起,必有所始。榮辱之來,必象其德。肉腐出蟲,魚枯生蠹。怠慢忘身,禍災乃作。强自取柱,柔自取束。邪穢在身,怨之所構。

施薪若一,火就燥也。平地若一,水就溼也。草木疇生,禽獸羣焉,物各從其類也。

是故,質的張而弓矢至焉,林木茂而斧斤至焉,樹成蔭而衆鳥息焉,醯酸而蜹聚焉。故言有召禍也,行有招辱也,君子愼其所立乎!

 

 

[세상] 만사가 일어나는 데에는 [그에 대한] 원인이 반드시 존재한다.[각주:1] [이처럼, 사람이] 영예나 치욕을 받는 것도, 분명 사람의 덕행[이 선하였는지, 악하였는지]에 따라 비롯된다.[각주:2] [풀어 말해 보면 이렇다.] 고기가 썩으면 [그 때문에] 벌레가 생기고, 생선이 말라 비틀어지면 [그 때문에] 좀이 슨다. [이처럼, 사람이] 태만하여서 자신[의 학문과 수양]을 소홀히 한다면, [그러하였기 때문에 사람에게] 재앙이 일어나고 마는 것이다.[각주:3] [또한,] 곧은 사람은 [곧기 때문에] 스스로 부러지게 되고, 유약한 사람은 [유약하기 때문에] 스스로 얽매이고 만다.[각주:4]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올바르지 않은 마음이 내재해 있다면, [이 때문에 남의] 원한이 얽히게 되는 것이다.[각주:5]

 

[그렇다면 학문과 수양을 소홀히 했을 때 재앙이 일어나고, 마음을 올바르지 않게 품고 있을 때 남의 원한을 사게 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그 원인과 결과가, 성질이 비슷한 부류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흩어 놓은 땔나무가 [다] 똑같아 보이지만, [불을 붙여 보면] 마른 나무부터 불이 붙고, 평탄한 땅이 [다] 똑같아 보이지만, [물을 부어 보면] 습한 곳부터 물이 스며 든다.[각주:6] [원인과 결과를 이루는 현상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초목은 떼 지어 자라고, 금수도 무리를 이루며 산다. [이처럼, 세상] 만사는 자기[와 성질이 비슷한] 집단을 좇[아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각주:7]

 

이처럼, 과녁[의 면적]을 키우면 화살이 [과녁에 쉽게] 꽂히고, 숲이 울창해지면 도끼가 [숲을] 베며[각주:8], 나무가 [우거져서] 그늘을 지우면 새들이 쉬어 가고, 식초가 시어지면 초파리가 꼬인다.[각주:9] [이와 같이] 말이 화를 부르는 경우도 있고, 행동이 치욕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으니, 군자는 자신이 맡은 일에 신중해야 한다.[각주:10]

 

 

  1. 物類之起/必有所始, ◈ 物類는 체언으로, ‘세상 만사’, ‘세상일’, ‘세상사’를 이른다. 物은 ‘사물’, ‘일’을 뜻한다. 類는 본래 ‘종류’, ‘부류’, ‘무리’를 이르는데, 여기서는 아마 ‘~들’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된 듯 보인다. 그러면 物類는 ‘사물들’ 또는 ‘일들’이 되는데, 이를 ‘세상일’, ‘세상사’, ‘세상 만사’처럼 확장하여 사용하였을 것이다. 《說苑》 「辨物」에 通乎物類之變, ‘物類의 변화에 통달하다’라는 말이 있고, 《淮南子》 「覽冥訓」에는 夫物類之相應/玄妙深微/知不能論/辯不能解, ‘저 物類가 서로 應하는 모습은, 玄妙하고 深微하여, 알아도 논할 수가 없고, 말해도 풀이할 수가 없다’라는 말이 있다. 《列子》 「周穆王」에는 皆通於天地/應於物類, ‘모두 天地와 통하고, 物類에 應한다’라는 말이 있고, 東漢의 徐幹이 쓴 《中論》의 「治學」에는 斯大聖之學乎神明而發乎物類也, ‘이 大聖들은 神明에게서 배우고, 物類에게서 發한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 사례들에서, 物類는 모두 ‘세상사’, ‘세상 만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아마 고대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였던 표현이었을 것이다. ◈ 物類之起의 之는 관형격 조사다. ‘~의’처럼 해석된다. ◈ 起는 체언으로, ‘일어나는 것’, ‘발생하는 것’, ‘생겨나는 것’이라는 말이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起가 從으로, 즉 物類之從이라고 되어 있다. 從은 ‘따르다’는 말이므로, ‘어떤 원인에 따라 일어나다’라는 의미일 것이다. ◈ 物類之起는 명사구로, 物類之起/必有所始의 주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세상사의 발생’처럼 해석된다. 나는 ‘세상 만사가 일어나는 데’처럼 의역하였다. ◈ 必은 부사어로, ‘반드시’, ‘분명’, ‘꼭’이다. ◈ 有는 용언으로, ‘존재하다’, ‘있다’는 말이다. 所始를 받는다. ◈ 所는 ‘~한 바’, ‘~하는 바’다. 始를 받는다. ◈ 始는 용언으로, ‘시작되다’, ‘비롯되다’라는 말이다. 즉, 所始는 ‘비롯되는 바’, 곧 ‘원인’을 뜻한다. 즉, 有所始는 ‘원인이 존재한다’라는 말이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始가 由로 되어 있다. 由는 ‘말미암다’, ‘기인하다’는 말이므로, 所始는 ‘기인하는 바’, 즉 ‘원인’이 된다. ◈◈ 蜀虎案 : 荀子는 이 부분에서 인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건이 발생했다면, 그에 대한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사과가 땅에 떨어졌다면, 사과를 땅에 떨어지게 만든 원인이 존재할 것이다. 孃破가 恾恾貳를 때렸다면, 아마 恾恾貳가 여시처럼 굴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蜀虎가 밥그릇 옆에서 처다 보고 있다면, 밥을 아직 안 줬기 때문일 것이다. 또, 사람이 福을 받았다면, 그 사람이 福을 받을 만한 德望을 품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요, 사람이 禍를 받았다면, 그 사람이 禍를 받을 만큼 품성이 올바르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비교적 단순한 문제에서부터, 吉凶禍福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荀子는 결과가 그렇게 된 까닭은 원인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평소 행실을 삼가고,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문으로]
  2. 榮辱之來/必象其德, ◈ 榮辱은 체언으로, ‘영예와 치욕’을 이른다. 榮은 ‘영화’, ‘영예’, ‘영광’ 따위를 이른다. 辱은 ‘수치’, ‘치욕’, ‘모욕’을 이른다. ◈ 榮辱之來의 之는 관형격 조사다. ‘~의’처럼 해석된다. ◈ 來는 체언으로, ‘오는 것’, ‘도래하는 것’을 이른다. 그러나 그 대상이 榮辱이므로, 사실은 榮辱을 ‘받다’처럼 해석하는 편이 좋겠다. ◈ 榮辱之來는 명사구로, 榮辱之來/必象其德의 주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영욕의 도래’처럼 해석된다. 나는 ‘사람이 영예나 치욕을 받는 데’처럼 의역하였다. ◈ 必은 부사어로, ‘반드시’, ‘분명’, ‘꼭’이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必이 各으로 되어 있다. 各은 부사어로, ‘각각’, ‘각자’라는 말이다. ◈ 象은 용언으로, ‘본뜨다’, ‘닮다’는 말이다. 그런데 내용을 보면, 사람이 쌓은 德의 여하에 따라, 즉 德行이 선하였는지, 악하였는지에 따라, 그 양태를 ‘본떠서’ 榮辱이 찾아 온다는 말이므로, 象은 앞의 始와 같이, ‘비롯되다’라고 번역하면 좋겠다. ◈ 其는 지시대명사로, ‘榮辱之來하는 사람’, 즉 ‘榮辱을 받는 사람’을 가리킨다. ‘그 사람의’처럼 해석된다. ◈ 德은 체언으로, ‘덕’, ‘덕행’, ‘덕망’, ‘덕성’, ‘품성’, ‘품행’을 이른다. 나는 ‘덕행’이라고 번역하였다. ◈◈ 蜀虎案 : 선하게 행동하였으면 영예를 누릴 것이고, 악하게 행동하였으면 치욕을 받을 것이다. [본문으로]
  3. 肉腐出蟲/魚枯生蠹//怠慢忘身/禍災乃作, ◈ 肉腐出蟲은 ‘고기가 썩으면 벌레가 나온다’처럼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렇게 해석하려면, 원문이 肉腐出蟲이 아니라, 肉腐蟲出이 되어야 한다. 肉腐出蟲에서, 腐는 분명 용언이기는 하지만, 肉腐, 즉 ‘고기가 썩다’라는 명사절의 용언으로 사용되었을 뿐이다. 肉腐出蟲 전체에서 용언 역할을 하는 글자는 出이다. 즉, 이 節은 ‘肉腐은 蟲을 出하게 한다’라고 번역해야 한다. 肉腐이 주어절이고, 出은 용언이며, 蟲은 出의 목적어다. 다만 나는 한국어 어법에 자연스럽도록, ‘肉이 腐하였기 때문에 蟲이 出한다’처럼 의역하였다. 魚枯生蠹 역시 그렇다. 魚枯가 명사절로, 주어 역할을 하고, 生이 용언 역할을 하게 된다. 蠹는 生의 목적어다. ◈ 肉은 체언으로, ‘고기’다. ◈ 腐는 용언으로, ‘부패하다’, ‘썩다’라는 말이다. ◈ 出은 용언으로, ‘나오게 하다’, ‘생기게 하다’라는 말이다. 蟲을 받는다. 魚枯生蠹의 生과 같다. 出은 出生이라는 말처럼, ‘나오다’, ‘생기다’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 蟲은 체언으로, ‘벌레’다. ◈ 魚는 체언으로, ‘생선’, ‘물고기’다. ◈ 枯는 용언으로, ‘마르다’, ‘말라 비틀어지다’라는 말이다. ◈ 生은 용언으로, ‘생기게 하다’라는 말이다. 蠹를 받는다. 앞에 나온 肉腐出蟲의 出과 같다. ◈ 蠹는 ‘좀’이다. 벌레의 일종이다. 좀은 본래 나무를 먹는 벌레다. ‘좀 먹는다’, ‘좀이 슨다’라고 할 때의 ‘좀’과 같다. ◈ 怠慢忘身은 怠慢而忘身, ‘怠慢하여서 忘身하다’처럼 풀이해야 할 듯하다. ◈ 怠慢은 용언으로, ‘태만하다’, ‘게으르게 굴다’라는 말이다. 怠와 慢은 모두 ‘태만하다’, ‘게으르다’는 뜻이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怠慢이 殆教로 되어 있다. 여기서 殆는 아마 ‘태만하다’, ‘게을리 하다’라는 말일 것이다. 즉, 殆教는 ‘배우기를 게을리 하다’는 말이 된다. 그러면 殆를 어떻게 ‘태만하다’라고 해석할 수 있을까. 《論語》 「爲政」에 思而不學則殆,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殆하다’라는 말이 있는데, 邢昺은 殆를 倦殆, ‘게으르다’라고 풀이하고 있다. ◈ 忘은 용언으로, 본래 ‘잊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소홀히 하다’, ‘돌보지 않다’, ‘신경쓰지 않다’라고 보아야 타당하겠다. 身을 받는다. 《春秋左氏傳》 「隱公」 7년에, 壬申/及鄭伯盟/歃如忘, ‘임신일에 鄭伯과 盟하였는데, 歃하다가 忘하였다’라는 말이 있는데, 杜預는 志不在於歃血, ‘歃血하는데 마음이 없었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즉, 忘은 ‘마음이 다른 데 가 있다’, 곧 ‘소홀히 하다’는 뜻이다. 《史記》 「孔子世家」와 《國語》 「魯語」에 使無忘職業, ‘직분과 사업을 忘하지 않게 하다’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의 忘 역시 ‘소홀히 하다’는 뜻이다. 아니면, 忘을 亡의 가차자로 볼 수도 있겠다. 亡은 ‘망치다’는 뜻이다. 따라서 亡身은 ‘자신을 망치다’라는 말이 된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忘이 亡으로 되어 있다. ◈ 身은 체언으로, ‘자기’, ‘자신’이다. ◈ 禍災는 체언으로, ‘재앙’이다. 禍는 ‘화’, 災는 ‘재앙’을 이르니, 禍災도 곧 ‘재앙’이다. ◈ 乃는 아마 의미 없는 조사 같다. 荀子는 앞에 있는 物類之起에서부터 뒤에 나올 禽獸群焉까지의 句를 모두 네 글자씩 맞춰 적었다. 그런데 禍災作, ‘禍災가 作한다’가 세 글자이므로, 乃를 집어 넣어서 禍災乃作의 네 글자로 맞춘 듯하다. 조사로 보지 않는다면, 세 가지 안이 더 있다. 먼저, 乃를 ‘이에’, ‘그래서’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면 怠慢忘身/禍災乃作은 ‘怠慢하여 忘身하면 禍災이 이에 作한다’라고 풀이된다. 두 번째로, 乃를 ‘곧’이라고, 즉 則이나 卽처럼 해석할 수 있다. 그러면 怠慢忘身/禍災乃作은 ‘怠慢하여 忘身하면 禍災이 곧 作한다’라고 풀이된다. 宋基采가 ‘곧’이라고 번역하였다. 그런데, ‘이에’로 보든, ‘곧’이라고 보든, 어순이 본래의 禍災乃作 보다는 乃禍災作이 되어야 자연스러울 것 같다. 또 마지막으로, 乃를 주격 조사처럼 ‘~이’, ‘~가’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면 그러면 怠慢忘身/禍災乃作은 ‘怠慢하여 忘身하면 禍災이 作한다’라고 풀이된다. 그러면 乃를 어떻게 주격 조사처럼 해석할 수 있을까. 《書》 「虞書 舜典」에 帝乃殂落, ‘帝가 殂落하였다’라는 말이 있고, 《書》 「商書 微子」에 我乃顚隮, ‘우리는 顚隮할 것이다’라는 말이 있으며, 《書》 「周書 洪範」에 禹乃嗣興, ‘禹가 嗣興하였다’라는 말이 있다. 이 사례들에서 乃는 주격 조사처럼 해석된다. 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을 가지고 따져 보았지만, 내 생각에는 의미 없는 조사로 보는 편이 가장 타당할 것 같다. ◈ 作은 용언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다’, ‘생겨나다’라는 말이다. 앞에 나온 出, 生과 의미가 같다. ◈◈ 蜀虎案 : 정도를 걷도록, 자신을 항상 수양하고, 학문을 부지런히 닦아야 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본문으로]
  4. 強自取柱/柔自取束, ◈ 強은 체언으로, ‘강한 것’, ‘곧은 것’, ‘튼튼한 것’을 이른다. 나는 ‘곧은 사람’처럼, 사람을 지칭하는 표현이라고 풀이했다. ◈ 自는 부사어로, ‘스스로’, ‘저절로’다. ◈ 取는 아마 피동을 표현하는 말 같다. ‘~하게 되다’라고 해석된다. 取柱는 ‘柱하게 되다’라는 말이고, 取束은 ‘束하게 되다’라는 말이다. 이 때 柱와 束은 모두 용언이다. 《後漢書》 「吳蓋陳臧列傳」에 昔陳平智有餘以見疑/周勃資朴忠而見信//夫仁義不足以相懷/則智者以有餘爲疑/而朴者以不足取信矣, ‘옛날 陳平은 식견이 넉넉하였기에 의심을 見하였고, 周勃은 소박하고 충성스러웠기에 신임을 見하였다. 이처럼, 저 仁義도 서로 懷할 만하지 않으니, 식견이 넉넉하면 의심을 爲하고도 남고, 소박하더라도 신임을 取하기가 모자란 것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 문장에서 見, 爲, 取는 모두 피동을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만약 取를 피동을 표현하는 말로 보지 않고, ‘취하다’, ‘얻다’ 같은 용언으로 본다면, 柱와 束은 체언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 柱는 용언으로, 아마 ‘꺾다’라는 말 같다. 王引之의 설이다. 아마 화를 당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러면 取柱는 ‘柱하게 되다’라는 뜻이니, 곧 ‘꺾이다’라는 말이 된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柱가 折이라고 되어 있다. 折은 물론 ‘꺾다’라는 말이다. 柱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다. 먼저 楊倞은 以爲柱而任勞, ‘기둥처럼 간주되어서 고생하게 된다’라고 풀이했다. 楊倞은 柱를 ‘기둥’이라는 본 뜻 그대로 이해한 것이다. 그러나 柱는 용언이므로, 만약 柱의 의미 그대로 해석한다 하더라도, 기둥처럼 ‘버티다’, ‘받치다’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王引之는 楊說強自取柱之義甚迂//柱與束相對爲文/則柱非謂屋柱之柱也//柱/當讀爲祝//哀十四年公羊傳/天祝予///十三年穀梁傳/祝髮文身///何范注竝曰/祝/斷也///此言物強則自取斷折/所謂太剛則折也//大戴記作強自取折/是其明證矣//南山經招摇之山有草焉/其名曰祝餘///祝餘或作柱荼/是祝與柱通也[祝之通作柱/猶注之通作祝//周官瘍醫祝藥/鄭注曰/祝/當爲注/聲之誤也], ‘楊倞이 強自取柱의 의미를 풀이한 말은 아주 잘못되었다. 柱와 束은 서로 대조되면서 글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柱를 집의 기둥이라고 할 때의 柱라고 풀이해서는 안 된다. 柱는 마땅히 祝이라고 읽어야 한다. 《公羊傳》 「哀公」 14년에 “하늘이 나를 祝한다”라는 말이 있고, 《穀梁傳》 13년에는 “털을 祝하고 몸에 그림을 그렸다”라는 말이 있는데, 何休와 范宁는 모두 “祝은 끊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즉, 이 글은, 物이 強하면 스스로 꺾이게 된다는 뜻이니, 너무 강하면 꺾이게 된다는 뜻일 것이다. 《大戴記》에는 強自取折이라고 되어 있으니, 이를 가지고 분명하게 증명할 수 있겠다. 「南山經」에 “招摇山에 풀이 있는데, 이름은 祝餘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祝餘는 柱荼라고 되어 있기도 하니, 祝와 柱가 통용되었기 때문이다.[王先謙의 부연 : 祝이 柱와 통용되었던 현상은, 注와 祝이 통용되었던 현상과 원리가 같다. 《周》 「官」의 瘍醫 부분에는 祝藥이라는 말이 있는데, 鄭玄은 “祝은 마땅히 注가 되어야 한다. 소리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公羊傳》은 《春秋公羊傳》이다. 《穀梁傳》은 《春秋穀梁傳》이다. 《春秋穀梁傳》 인용문은 「哀公」 13년에 나온다. 《大戴記》는 《大戴禮記》다. 「南山經」은 《山海經》에 속한다. 「南山經」에는 其首曰招搖之山/臨于西海之上/多桂/多金玉//有草焉/其狀如韭而青花/其名曰祝餘/食之不飢, ‘그 首는 招搖山이라고 한다. 西海의 가에 있다. 桂가 많고, 金과 玉도 많다. 풀도 있는데, 그 모습은 韭와 같다. 푸른 꽃을 피운다. 풀의 이름은 祝餘다.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라고 되어 있다. 또, 祝餘에 대해, 郭璞은 或作桂茶, ‘桂荼라고 되어 있기도 하다’라고 했다. 王引之는 柱荼라고 하였는데, 아마 柱와 桂의 모양이 비슷해서 잘못 인용한 듯 보인다. 《周》 「官」은 《周禮》 「天官冢宰」를 이른다. 鄭玄은 祝/當爲注/讀如注病之注/聲之誤也//注謂附著藥, ‘祝은 마땅히 注가 되어야 한다. 注病이라고 할 때의 注처럼 읽는다. 소리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 注는 藥을 붙인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賈公彦은 祝/注也, ‘祝은 注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한편, 宋基采도 柱에 대해 여러 이설들을 소개해 두었다. 여기에도 참고차 그 설들을 재인용해 둔다. 于鬯은 仆가 朴으로 잘못되고, 朴이 다시 柱로 잘못되었다고 했다고 한다. 여기서 仆는 ‘넘어지다’는 말이다. 그러면 ‘곧은 것은 스스로 넘어지게 된다’는 말이 된다. 劉師培는 柱가 拄의 오기라고 했다고 한다. 拄는 ‘버티다’, ‘괴다’라는 말이다. 그러면 ‘곧은 것은 스스로 버티게 될 수 있다’라는 말이 된다. 鍾泰는 柱가 拄와 같다고 했다고 한다. 그러면 劉師培의 풀이와 같아진다. 宋基采는 이 설들을 소개하고, 결과적으로는 鍾泰를 좇아, ‘지주로 삼다’처럼 번역하였다. 또, 宋基采는 王引之가 「南山經」을 인용했던 말에 대해, 祝餘가 柱荼라고 되어 있다고 한 부분이 잘못되었다고 하였다. 앞에서 내가 인용하였듯, 郭璞은 祝餘에 대해, 或作桂茶, ‘桂荼라고 되어 있기도 하다’라고 했는데, 이 桂荼를 王引之가 柱荼라고 잘못 보았기 때문에 柱荼라고 썼다는 말이다. 이 비판은 타당하므로, 王引之가 「南山經」을 들어 편 논증을 잘못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내 생각은 이렇다. 宋基采의 비판 대로, 王引之의 논증 중, 「南山經」 부분이 잘못되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나, 《周禮》에 대한 鄭玄의 주석에 나오듯, 祝과 注가 발음 때문에 서로 잘못될 수 있다면, 祝과 柱 역시 서로 발음 때문에 잘못될 수 없다고 할 수가 없다. 또, 무엇 보다 《大戴禮記》 「勸學」에 折이라고 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王引之가 柱를 斷, ‘끊다’처럼 해석한 것이 오히려 타당하다고 볼 여지가 더욱 크다. 荀子는 物類之起/必有所始 이후로, 시종일관 부정적인 사례들을 들며, ‘자신을 수양하지 않으면 화를 당하게 된다’는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는데, ‘강하면 부러진다’라는 王引之의 해석은 이 주제에도 또한 정합된다. 그래서 나는 王引之를 따라 번역하였다. 또, 柱와 拄에 대해서도 따져 볼 점이 있다. 劉師培와 鍾泰는 柱를 拄로 보았는데, 拄는 상기하였듯, ‘버티다’는 뜻이다. 柱와 拄는 비슷하게 생겼으므로, 劉師培의 설처럼 글자가 잘못되었을 수도 있고, 아니면 鍾泰의 설처럼 같은 글자로 간주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柱를 拄로 보는 설은, 楊倞의 설명과도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하지만 拄가 ‘버티다’는 뜻이라면, 본문은 ‘강한 자는 스스로 버티게 된다’는 말이 되는데, 대체 이 것이 무슨 말인가. 억지스럽고, 이상하다. 또, 앞에서 이야기하였듯, 荀子는 부정적인 사례들을 나열해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으므로, 拄 역시 부정적인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漢書》 「楊胡朱梅云傳」에 連拄五鹿君, ‘연이어 五鹿君을 拄했다’라는 말이 있는데, 顏師古는 拄/刺也/距也/音竹庾反, ‘拄는 헐뜯다, 멀리 하다는 뜻이다. 竹과 庾의 반절로 읽는다’라고 하였다. 이처럼 拄는 ‘헐뜯다’, ‘멀리 하다’는 의미로 풀이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한다면, 본문은 ‘강한 것은 스스로 다른 사람들에게서 비난받게 된다’, ‘강한 것은 스스로 다른 사람들에게서 기피받게 된다’라는 의미가 되어, 맥락과도 잘 어울리고, 또 주제와도 정합되게 된다. 즉, 柱를 拄로 풀이하겠다면, ‘버티다’ 보다는 ‘헐뜯다’, ‘기피하다’처럼 풀이해야 할 것이다. ◈ 柔는 체언으로, ‘부드러운 것’, ‘유약한 것’이다. 나는 ‘유약한 사람’처럼, 사람을 지칭하는 표현이라고 풀이했다. ◈ 束는 용언으로, ‘묶다’, 줄로 ‘매다’라는 뜻이다. 여기서는 ‘얽매다’라고 번역하였다. 그러면 取束은 ‘얽매이다’라고 번역될 것이다. 아마 사사로운 인정이나 감정 때문에 신세를 망친다는 뜻일 것이다. ◈◈ 蜀虎案 : 곧은 사람과 유약한 사람은 스스로 부러지거나 얽매이게 되는데, 그 까닭은 자신에게 내재한 그 성품이라는 뜻이다. 또, 글자를 풀이하는 중에 언급하여듯, 부러진다는 말은 화를 당한다는 뜻일 것이고, 얽매인다는 말은 사사로운 인정이나 감정에 얽매여서 신세를 망치게 된다는 말일 것이다. [본문으로]
  5. 邪穢在身/怨之所構, ◈ 邪穢는 체언으로, ‘삿됨’, ‘올바르지 않음’이라는 말일 것이다. 여기서는 문맥을 고려해서, ‘삿된 마음’, ‘올바르지 않은 마음’처럼 번역하였다. 邪穢는 같은 의미의 글자들로 구성된 한 단어로 간주해야 한다. 邪는 ‘삿되다’, ‘사악하다’, ‘올바르지 않다’라는 말이다. 穢는 ‘더럽다’, ‘못되다’라는 말이므로, 邪와 의미가 통한다. 《春秋左氏傳》 「昭公」 26년에, 且天之有彗也/以除穢也//君無穢德/又何禳焉//若德之穢/禳之何損, ‘또, 하늘이 또한 彗하는 것은 穢를 없애기 위해서다. 군주에게 穢한 德이 없다면, 또 어찌 禳하겠는가. 만약 德이 穢하다면, 禳하는 것이 어찌 손해일 수 있겠는가’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穢는 ‘더럽다’라고 보아도 좋지만, ‘삿되다’라고 하면 더 잘 맞는다. 《三國志》 「蜀志 蒋琬費禕姜維傳」에 芟穢弭難/臣職是掌, ‘穢를 베고, 난국을 종식시키는 일이 臣의 직분이자 관장하는 바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穢는 曹魏를 가리키는 말로, ‘사악한 것’, ‘나쁜 것’을 이른다. ◈ 在는 용언으로, ‘있다’, ‘존재하다’는 말이다. 나는 ‘내재하다’라고 번역하였다. ◈ 身은 체언으로, 본래 ‘자신’을 뜻하지만, 여기서는 일반적인 ‘사람’이라고 해석해도 좋다. 나는 ‘자신’이라고 번역하였다. ◈ 怨은 체언으로, ‘원망’, ‘원한’이다. ◈ 怨之의 之는 주격 조사 같다. ◈ 所構의 所는 아마 피동을 표현하는 말 같다. 爲, 見, 被 등과 같다. 그러면 所가 피동으로 사용된 사례에는 무엇이 있을까. 《史記》 「高祖本紀」에 由所殺蛇白帝子/殺者赤帝子/故上赤, ‘타살당한 뱀은 白帝의 자식이고, 죽인 뱀은 赤帝의 자식이었기에, 그래서 적색을 숭상했다’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所殺의 所가 바로 피동을 표현하는 말이다. ◈ 構는 용언으로, ‘얽다’, ‘엮다’라는 말이다. 그러면 所構는 ‘얽매이다’, ‘얽히다’라는 뜻이 된다. 주어가 怨, ‘원한’이므로, ‘맺히다’, ‘쌓이다’처럼 의역해도 좋겠다. 楊倞은 構/結也, ‘構는 맺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 楊倞은 言亦所自取, ‘역시 스스로 취한 바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 蜀虎案 : 怠慢忘身/禍災乃作에서처럼, 정도를 걷기 위해 자신을 항상 수양하고, 학문을 부지런히 닦아야 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본문으로]
  6. 施薪若一/火就燥也//平地若一/水就溼也, ◈ 施는 관형어로, ‘늘어 놓은’, ‘흩어 놓은’이라는 말이다. 薪을 한정한다. 《國語》 「晉語」에 秦人殺冀芮而施之, ‘秦나라 사람들이 冀芮를 죽이고서는 시체를 施했다’라는 말이 있는데, 韋昭는 陳尸曰施, ‘시체를 늘어 놓는 것을 施라고 한다’라고 했다. 아마 죽인 다음에 시체를 토막 내서, 이리저리 흩어 놓았다는 말 같다. 본문에 대해, 楊倞은 施를 布, ‘늘어 놓다’, ‘펴다’라고 풀이하였다. 한편, 《大戴禮記》 「勸學」에는 施가 布로 되어 있다. ◈ 薪은 체언으로, ‘땔나무’다. ◈ 施薪若一의 若은 용언으로, ‘같다’는 말이다. 一을 받는다. 나는 ‘같아 보인다’라고 번역하였다. 平地若一에서도 그렇다. ◈ 施薪若一의 一은 체언으로, ‘동일한 것’, ‘똑같은 것’이다. 平地若一에서도 그렇다. ◈ 火는 체언으로, ‘불’이다. ◈ 火就燥也의 就는 용언으로, ‘좇다’, ‘따르다’는 말 같다. 명사구인 燥也을 받는다. 水就溼也의 就도 그렇다. 명사구인 溼也를 받는다. 《禮記》 「檀弓 上」에 先王之制禮也/過之者俯而就之/不至焉者跂而及之, '先王의 制禮에서는, 지나친 것은 俯하여 就하게 했고, 모자란 것은 跂하여 미치게 하였다'라는 말이 있고, 《論語》 「學而」에 就有道而正焉, '有道한 사람을 就하여 바로잡는다'라는 말이 있으니, 이 문장들에서 就는 '좇다', '따르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 燥也는 燥者와 같다. ‘마른 것’이다. ‘마른 땔나무’를 이른다. 燥는 관형어로, ‘마른’, ‘건조한’이라는 말이다. 也는 者와 같이, ‘~한 것’이라는 말이다. 《禮記》 「檀弓」에 古者冠縮縫/今也衡縫, ‘옛날에는 冠을 세로로 꿰맸는데, 요즘은 가로로 꿰맨다’라는 말이 있고, 《論語》 「陽貨」에는 古者民有三疾/今也或是之亡也, ‘옛날에는 백성들에게 문제가 세 가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진 듯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 문장들에는 모두 古者와 今也가 대구를 이루고 있으니, 이로써 볼 때 今也는 앞의 句를 따라 今者가 되어야 함이 분명하고, 실제로 의미 자체도 그렇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예시들은 王引之의 《經傳釋詞》 「也」에 들어 있다. 한편, 《大戴禮記》 「勸學」에는 也가 빠져 있다. ◈ 火就燥也는 ‘불은 마른 것을 좇는다’라는 말이지만, 나는 ‘마른 나무부터 불이 붙는다’처럼 의역하였다. ◈ 平은 관형어로, ‘평평한’이다. 地를 한정한다. ◈ 地는 체언으로, ‘땅’이다. ◈ 水는 체언으로, ‘물’이다. ◈ 溼也는 溼者와 같다. ‘젖은 곳’, ‘축축한 곳’이다. 溼은 관형어로, ‘젖은’, ‘축축한’이다. 也는 者와 같이, ‘~한 것’이다. 여기서는 땅에 대한 말이므로, ‘~한 곳’이라고 해석해야 하겠다. 也가 者와 같다는 점은 火就燥也의 也 부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한편, 《大戴禮記》 「勸學」에는 溼이 濕으로 되어 있고, 또 也가 빠져 있다. 溼과 濕은 같은 글자다. ◈ 水就溼也는 ‘물은 젖은 곳을 좇는다’라는 말이지만, 나는 ‘습한 곳부터 물이 스며 든다’처럼 의역하였다. ◈◈ 楊倞은 布薪於地/均若一/火就燥而焚之矣, ‘땅에 땔나무를 펴 두면, 다 똑같은 것처럼 균일하지만, 불은 마른 것을 좇아서 태운다’라고 하였다. ◈◈ 蜀虎案 : 나무가 물기를 머금고 있으면 불이 잘 붙지 않는다. 그래서 가을이나 겨울 같이, 건조한 시기에 산불이 크게 나는 것이다. 나뭇가지들이 다 똑같아 보여도, 불을 붙이면, 불은 건조한 가지에 먼저 붙는다. 다만, 물에 대한 예시는 사실과 다르다. 물을 붓는데, 땅이 젖어 있으면, 물이 더 스며 들지 않고서, 고이고, 또 넘친다. 마른 땅일수록 더 쉽게 젖는다. 이처럼 荀子의 주장과는 오히려 반대된다. 그러나, 땔나무와 불의 예시, 그리고 전후의 맥락을 살펴 보면, 荀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명백하므로, 이에 맞추어서 이해해야 하겠다. [본문으로]
  7. 草木疇生/禽獸群焉/物各從其類也, ◈ 草木은 체언으로, ‘풀과 나무’다. 나는 ‘초목’이라고 음역하였다. ◈ 疇는 아마 용언으로, ‘무리를 짓다’, ‘무리를 이루다’, ‘함께 하다’라는 말인 것 같다. 나는 ‘떼를 짓다’라고 번역하였다. 《書》 「周書 洪範」에 帝乃震怒/不畀洪範九疇, ‘帝가 震怒하여서, 洪範의 九疇를 주지 않았다’라는 말이 있는데, 孔安國은 疇/類也, ‘疇는 부류라는 뜻이다’라고 하였고, 蔡沈도 疇/類, ‘疇는 부류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戰國策》 「齊策」에는 夫物各有疇/今髡賢者之疇也, ‘대저, 만물에는 각자 疇가 있다. 髡은 賢者의 疇다’라는 말이 있는데, 高誘는 疇/類, ‘疇는 부류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髡은 稷下의 淳于髡을 이른다. 이처럼 疇는 ‘부류’인데, 이를 용언처럼 사용한다면, ‘부류를 이룬다’, 즉 ‘무리를 이룬다’, ‘함께 하다’라는 말이 될 것이다. 또, 《國語》 「齊語」에는 人與人相疇/家與家相疇, ‘사람과 사람이 서로 疇하고, 집안과 집안이 서로 疇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韋昭는 疇/匹也, ‘疇는 짝을 이루다’라는 말이다. 짝을 이루니, 곧 ‘함께 한다’는 뜻이다. 본문에 대해, 楊倞은 疇與儔同/類也, ‘疇와 儔는 같다. 부류를 이룬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儔는 匹儔라는 말처럼, ‘짝을 이루다’는 말이다. ◈ 生은 용언으로, ‘살다’는 말이다. ◈ 禽獸는 체언으로, ‘짐승’이다. 禽은 새와 같은 ‘날짐승’, 獸는 개나 고양이 같은 ‘들짐승’을 이른다. ◈ 群은 아마 용언으로, ‘무리를 이루다’는 말이다. ◈ 焉은 아마 居가 잘못된 말일 것이다. 居는 용언으로, ‘살다’는 말이다. 疇生와 群焉은 대구를 이루고 있는데, 疇와 群의 의미가 같았으므로, 生과 焉의 의미도 같아야 한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焉이 居라고 되어 있다. 《大戴禮記》처럼 居라고 보면, 生과 의미가 같게 되므로, 대구가 잘 맞게 된다. 이에 대해 劉台拱은 群焉/當從大戴禮作群居, ‘群焉은 마땅히 《大戴禮》를 따라 群居가 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大戴禮》는 《大戴禮記》다. 王念孫은 群居與疇生/對文//今本/居作焉者/涉下文四焉字而誤. ‘群居와 疇生은 대구를 이루는 글이다. 지금 판본에는 居가 焉이라고 되어 있는데, 밑의 글에 있는 4개의 焉들 때문에 잘못되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四焉, 즉 ‘네 개의 焉’이란, 이 다음에 이어지는 而弓矢至焉, 而斧斤至焉, 而眾鳥息焉, 而蚋聚焉의 焉들을 이르는 듯하다. ◈ 物은 체언으로, 세상 ‘만사’다. 첫 문장인 物類之起/必有所始의 物類와 같다고 보아야 하겠다. ◈ 各은 부사어로, ‘각자’다. ◈ 從은 용언으로, ‘따르다’, ‘좇다’라는 말이다. 여기서는 사건들이 비슷한 성질의 다른 사건을 ‘좇아서 일어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其類를 받는다. 火就燥也와 水就溼也의 就와 같다. ◈ 其類의 其는 物을 가리킨다. ◈ 類는 체언으로, ‘집단’, ‘무리’, ‘떼’, ‘부류’를 이른다. 草木疇生/禽獸群焉의 疇, 群과 같다. 그래서 其類란, ‘物의 부류’로, 각 사건들과 성질이 비슷한 ‘부류’, ‘집단’을 이른다. 예를 들어, 마른 땔나무는 불과 같은 類이고, 젖은 땅은 물과 같은 類가 된다. 금수들이나 초목들이 군집을 이루며 사는 것은, 금수들이, 그리고 초목들이, 각각 다른 금수들, 다른 초목들과 같은 類이기 때문이다. ◈◈ 蜀虎案 : 荀子는 여러 방면으로 예를 들고 있지만, 결국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간단하다. 태만해서 자기 학문과 수양을 소홀히 하면, 그 때문에 재앙을 받고 만다는 점이 하나요, 마음을 올바르지 않게 품고 있다면, 그 때문에 남의 원한을 사게 된다는 점이 둘이다. 荀子는 원인과 결과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들이 같은 類이고, 반대로, 같은 類이기 때문에 이 현상들이 원인과 결과라는 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학문과 수양을 소홀히 한다는 것과, 재앙을 받는 일은 같은 類의 사건이고, 마음을 올바르지 않게 품는 것과 남의 원한을 사는 일은 또한 같은 類의 사건인 것이다. 따라서, 재앙을 받지 않고자 한다면, 재앙을 받는 일과 같은 類의 일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니, 열심히 수양하고, 공부해야 할 것이요, 남의 원한을 사고 싶지 않다면, 원한을 사는 일과 같은 類의 일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니, 마음을 올바르게 품어야 할 것이다. 바로 이 점이 荀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이다. 이 문단 전체를 포괄하는 문장은 이 뒤에 나온다. [본문으로]
  8. 是故/質的張而弓矢至焉/林木茂而斧斤至焉, ◈ 是故는 ‘이러한 까닭으로’, ‘이 때문에’, ‘이와 같이’, ‘이처럼’이라는 말이다. 物類之起/必有所始와 物各從其類 사이의 관계성을 뜻한다. ◈ 質的은 체언으로, ‘과녁’, ‘표적’을 뜻한다. 《淮南子》 「原道訓」에 先者則後者之弓矢質的也, ‘앞선 자는 뒤진 자에게 弓矢의 質的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高誘는 質的/射者之準執也, ‘質的은 활을 쏘는 사람이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곧 ‘표적’을 뜻한다. 質과 的 각각 또한 ‘과녁’, ‘표적’을 이른다. 먼저, 的은 곧 標的의 的이다. 또, 《詩》 「小雅 桑扈之什」의 「賓之初筵」에 發彼有的/以祈爾爵, ‘저 的을 쏴서, 너의 爵을 기원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毛亨과 朱熹는 的/質也, ‘的은 質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的과 質이 동일한 의미이고, 이로써 質的 또한 동일한 의미의 글자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단어임을 알 수 있다. 이런 말도 있다. 《周禮》 「天官冢宰」에 王大射/則共虎侯熊侯豹侯/設其鵠//諸侯則共熊侯豹侯/卿大夫則共麋侯/皆設其鵠, ‘王이 大射하면, 虎侯, 熊侯, 豹侯를 共하고, 그 鵠을 설치한다. 諸侯는 熊侯, 豹侯를 共하고, 卿과 大夫는 麋侯를 共하니, 모두 그 鵠을 설치한다’라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鄭玄은, 侯者/其所射也//以虎熊豹麋之皮飾其側/又方制之以爲/謂之鵠/著于侯中/所謂皮侯//王之大射/虎侯/王所自射也//熊侯/諸侯所射//豹侯/卿大夫以下所射//諸侯之大射/熊侯/諸侯所自射//豹侯/群臣所射//卿大夫之大射/麋侯/君臣共射焉//凡此侯道/虎九十弓/熊七十弓/豹麋五十弓//列國之諸侯大射/大侯亦九十/參七十/乾五十/遠尊得伸可同耳//所射正謂之侯者/天子中之則能服諸侯/諸侯以下中之則得爲諸侯, ‘侯는 쏘는 대상이다. 호랑이, 곰, 표범, 사슴의 가죽으로 측면을 꾸몄다. 또 이를 方制하여 만들었는데, 鵠라고 한다. 侯의 중앙에 붙여 두고는 皮侯라고 했다. 王이 大射할 때, 虎侯를 王이 직접 쏘고, 熊侯를 諸侯가 쏘고, 豹侯를 卿과 大夫 이하가 쏘았다. 諸侯가 大射를 할 때, 熊侯를 諸侯가 직접 쏘고, 豹侯를 群臣들이 쏘았다. 卿과 大夫가 大射할 때, 麋侯를 君臣이 함께 쏘았다. 이 侯들에 대한 규격은 이렇다. 虎는 90弓, 熊은 70弓, 표범과 사슴은 50弓이다. 列國의 諸侯들이 大射할 때는, 큰 侯는 역시 90弓, 參은 70弓, 乾은 50弓인데, 遠尊得伸할 때도 똑같이 할 수 있다. 쏘는 대상을 바로 侯라고 한 것은, 天子가 이를 맞추었을 때 諸侯를 복종시킬 수 있고, 諸侯 이하가 이를 맞추었을 때 諸侯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鄭玄은 또, 鄭司農云/鵠/鵠毛也//方十尺曰侯/四尺曰鵠/二尺曰正/四寸曰質, ‘鄭司農은 “鵠은 鵠毛다. 대체로, 열 자인 것을 侯라고 하고, 네 자인 것을 鵠이라고 하고, 두 자인 것을 正이라고 하고, 네 마디인 것을 質이라고 한다”라고 했다’라고 하였다. 鄭司農은 後漢의 鄭衆을 이른다. 즉, 옛 중국인들은 ‘과녁’이나 ‘표적’을 侯라고 했다. 鵠 역시 그 일종이며, 質 또한 그 일종이다. 크기나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글자가 달랐던 것이다. 이로써, 본문의 質的 역시 ‘과녁’, ‘표적’을 이르는 말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質的이 正鵠이라고 되어 있다. 正과 鵠이 ‘표적’의 일종임은 위에서 인용한 《周禮》의 주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문에 대해, 楊倞은 質/射侯//的/正鵠也, ‘質은 射侯고, 的은 正鵠이다’라고 하였다. 射侯가 ‘쏘는 과녁’임은 말할 것도 없겠고, 正과 鵠 ‘표적’임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宋基采는 侯가 帿와 통용된다고 하였다. 帿는 ‘과녁’이다. 아마 帿는 나중에 만들어진 글자일 것이다. 또 宋基采는 正이 鴊을 간단히 쓴 글자라고 했다. 鴊은 ‘매’를 뜻한다. 鵠 역시 새를 의미하는데, 이를 보면, 과녁을 뜻하는 正이 宋基采의 말처럼 鴊의 가차자일 가능성이 클 것 같다. 활은 본래 짐승들을 사냥하는 데 사용하였다. 사냥의 대상이든, 과녁이든, 모두 ‘활로 쏘는 것’이므로, 같은 글자를 가지고 이 둘을 모두 표상하였을 법하다. ◈ 張은 용언으로, ‘늘리다’, ‘넓히다’, ‘확장하다’라는 말이다. 擴張이라고 할 때의 張과 같다. 質的, 즉 과녁의 크기를 ‘키우다’라는 말일 것이다. ◈ 質的張而弓矢至焉의 而는 ‘그러면’이라고 해석된다. 林木茂而斧斤至焉의 而도 그렇다. 則과 같다. 《禮記》 「喪服小記」에 士妾有子而爲之緦/無子則已, ‘士妾에게 자식이 있으면 삼베로 만들고, 자식이 없으면 그만 둔다’라는 말이 있고, 《墨子》 「明鬼 下」에 則先死者/非父則母/非兄而姒也, ‘그러면, 먼저 죽는 사람은, 아비가 아니면 어미이고, 형이 아니면 姒다’라는 말이 있으며, 《史記》 「季布欒布列傳」에 與楚則漢破/與漢而楚破, ‘楚나라와 함께하면 漢나라를 깨뜨리고, 漢나라와 함께하면 楚나라를 깨뜨린다’라는 말이 있다. 예문들에서 而는 모두 ‘그러면’으로, 則과 의미가 같다. 而가 則과 서로 교차되어 쓰인 사례도 있다. 《禮記》 「樂記」에 喜則天下和之/怒則暴亂者畏之, ‘즐거우면 天下가 어우러지고, 빡치면 暴亂한 자들이 두려워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이 《荀子》 「樂論」에는 喜而天下和之/怒而曓亂畏之라고 되어 있다. 《孟子》 「公孫丑 上」에 可以仕則仕/可以止則止/可以久則久/可以速則速, ‘출사할 만하면 출사하고, 그만둘 만하면 그만두며, 久할 만하면 久하고, 速할 만하면 速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孟子》 「萬章 下」에는 이 말이 可以速而速/可以久而久/可以處而處/可以仕而仕라고 되어 있다. 而와 則이 같은 의미로 통용되었기 때문이다. 이 사례들은 王引之의 《經傳釋詞》 「而」에 소개되어 있다. ◈ 弓矢는 ‘활과 화살’이라기 보다는, ‘활로 쏜 화살’, 즉 ‘화살’이라고 번역해야 할 듯하다. 弓矢至는 ‘弓矢가 이르다’는 말인데, 화살이 날아 오는 것이지, 활이 날아 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면 弓은 ‘활로 쏜’처럼 관형어로 해석해야 할 것이고, 矢는 ‘화살’처럼 체언이라고 풀이해야 할 것이다. ◈ 弓矢至의 至는 용언으로, ‘이르다’, ‘도달하다’, ‘미치다’라는 말이다. 화살이 과녁에 ‘이르다’는 말이므로, 나는 ‘꽂히다’라고 의역하였다. ◈ 林木은 체언으로, ‘숲’이다. 林은 ‘숲’, 木은 ‘나무’를 뜻하는데, 여기서는 한 단어로 풀이해야 할 것이다. ◈ 茂은 용언으로, ‘우거지다’, ‘무성해지다’, ‘왕성해지다’, ‘울창해지다’라는 말이다. 숲이 ‘울창해진다’는 뜻이다. ◈ 斧斤은 체언으로, ‘도끼’다. 斧와 斤 모두 ‘도끼’를 이른다. ◈ 斧斤至의 至 또한 용언으로, ‘이르다’, ‘도달하다’, ‘미치다’라는 말이다. 도끼가 숲을 ‘베다’라는 말이므로, 나는 ‘베다’라고 의역하였다. ◈◈ 楊倞은 所謂召禍也, ‘禍를 부른다고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蜀虎案 : 楊倞은 이 이야기를 두고 禍를 부르는 일에 대한 예시라고 하였지만, 이는 단순히 荀子가 든 예시일 뿐, 그런 뜻을 함의하고 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 蜀虎又案 : 이 이야기는 다른 글에도 나온다. 《淮南子》 「說林訓」에는 質的張而弓矢集/林木茂而斧斤入/非或召之/形勢所致者也, ‘표적이 커지면 화살이 모여 들고, 숲이 우거지면 도끼가 들어 온다. 누가 화살이나 도끼를 불러 모았기 때문이 아니라, 형세가 그러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라고 되어 있고, 《文子》 「上德」에도 質的張而矢射集/林木茂而斧斤入/非或召之也/形勢之所致라고 되어 있는데, 글자만 조금 다를 뿐, 의미는 《淮南子》와 동일하다. 그러나, 글은 같더라도, 이 주제는 《荀子》와 같지 않다. 荀子는 노력하고, 삼가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이 있지만, 《淮南子》와 《文子》에서는 형세에 따라 이렇게 된 것이니, 자초한 일이 아니라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으로]
  9. 樹成蔭而衆鳥息焉/醯酸而蜹聚焉, ◈ 樹는 체언으로, ‘나무’다. ◈ 成은 용언으로, ‘이루다’는 말이다. 蔭을 받는다. 여기서는 그늘을 ‘지우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 蔭은 체언으로, ‘그늘’이다. 蔭은 본래 ‘가리다’는 말로, 여기서는 체언 역할을 하며, ‘가리는 것’이 되니, 곧 ‘그늘’이다. ◈ 樹成蔭而衆鳥息焉의 而는 ‘그러면’이라고 해석된다. 則과 같다. 醯酸而蜹聚焉의 而도 그렇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앞에 나온 質的張而弓矢至焉의 而 부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 衆은 관형어로, ‘여러’다. 鳥를 한정한다. 衆鳥는 ‘여러 鳥’ 혹은 ‘鳥들’처럼 해석된다. 《大戴禮記》 「勸學」에는 衆이 없다. ◈ 鳥는 체언으로, ‘새’다. ◈ 息은 용언으로, ‘쉬다’, ‘휴식하다’라는 말이다. ◈ 醯는 체언으로, ‘초’, ‘식초’다. 《釋名》 「釋飲食」에 醢多汁者曰醯, ‘醢에 물이 많은 것을 醯라고 한다’라는 말이 있다. 醢는 ‘젓갈’이다. ◈ 酸은 용언으로, 맛이 ‘시어지다’라는 말이다. ◈ 蜹는 체언으로, 아마 ‘초파리’를 이르는 말 같다. 문맥상, 식초에 꼬이는 벌레를 이르는데, 아마 ‘초파리’ 혹은, 그에 준하는 날벌레를 이르는 말일 것이다. 《說文解字》 「虫部」에는 蜹/秦晉謂之蜹/楚謂之蚊//从虫芮聲, ‘蜹는 秦나라와 晉나라에서는 蜹라고 하고, 楚나라에서는 蚊이라고 한다. 虫이 들어가 있고, 芮라고 발음한다’라고 되어 있다. 蚊은 ‘모기’를 이르는데, 모기가 식초에 꼬인다고 보기엔 다소 이상하다. 《孟子》 「滕文公 上」에 蠅蚋姑嘬之, ‘蠅과 蚋가 之를 嘬하고 있었다’라는 말이 있는데, 朱熹는 蚋/蚊屬, ‘蚋는 모기의 일종이다’라고 하였다. 의미가 같으므로, 이 蚋 역시 蜹와 같은 글자일 것이다. 한편 《大戴禮記》 「勸學」에는 蜹가 蚋로 되어 있는데, 《孟子》에서 확인하였듯, 둘은 같은 글자일 것이다. ◈ 聚는 용언으로, ‘모이다’, ‘모여 들다’라는 말이다. 날벌레들이 식초에 ‘꼬인다’는 뜻이다. ◈◈ 楊倞은 喻有德則慕之者衆, ‘德을 품으면, 흠모하는 자들이 많아진다는 점을 비유하였다’라고 하였다. 宋基采는 이에 대해, 樹成陰而衆鳥息焉은 영광을, 醯酸而蜹聚焉은 치욕을 비유한 표현이라고 하면서, 楊倞의 주석이 樹成陰而衆鳥息焉, 즉 영광에 대한 句만을 풀이한 말이라고 하였다. ◈◈ 蜀虎案 : ‘현상에는 원인이 있다’, 그리고 ‘같은 類끼리 모여 든다’는 두 명제가 이 부분에서 종합되고 있다. ◈◈ 蜀虎又案 : 荀子는 앞의 句에서부터, 화살, 도끼, 새, 초파리의 네 가지 예를 들고 있다. 그러나 화살, 도끼의 사례가 재앙을 뜻한다고 할 수도 없고, 새와 초파리의 사례가 또 복록이라고 할 수도 없다. 또, 宋基采처럼, 새는 영광, 초파리는 치욕을 표상하는 사례라고 할 수도 없다. 이 네 가지 사례는 荀子가 인과를 구성하는 현상들의 관계성을 설명하기 위해 든 사례일 뿐이지, 재앙, 복록, 영광, 치욕에 대해 든 예가 아닐 것이다. 그렇다고 보기에는, 荀子가 따로 부연하지도 않았고, 또 각각의 사례라는 점이 아주 명백하지도 않으며, 의미 구조상 대칭적이지도 않다. [본문으로]
  10. 故言有召禍也/行有招辱也/君子愼其所立乎, ◈ 故는 言有召禍也/行有招辱也에 내포되어 있는 인과 관계를, 뒤의 君子愼其所立乎와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유독 《荀子》에 이런 용례가 많이 보인다. 故는 일반적으로 A 故 B, ‘A다. 이에 B다’처럼 사용되는데, 《荀子》에는 故 A B, ‘A인 것과 같이 B다’처럼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는 ‘言有召禍也하고, 行有招辱也하니, 따라서’처럼 해석하였다. ◈ 言은 체언으로, ‘말’이다. ◈ 有는 용언으로, 어떤 경우가 ‘있다’, ‘존재하다’라는 말이다. 言有召禍也의 有는 명사구인 召禍也를 받고, 行有招辱也의 有는 명사구인 招辱也를 받는다. ◈ 召는 용언으로, ‘부르다’, ‘초래하다’는 말이다. 禍를 받는다. 禍를 ‘부르다’는 말로 사용되었다. ◈ 禍는 체언으로, ‘화’, ‘재앙’이다. ◈ 召禍也의 也는 아마 ‘~한 경우’라는 말 같다. 者와 같다. 관형어구인 召禍를 받는다. 즉, 召禍也는 召禍者로, ‘화를 부르는 경우’라는 말이 된다. 招辱也의 也 역시 그렇다. 이 也는 관형어구인 招辱을 받는다. 즉, 招辱也는 招辱者로, ‘치욕을 초래하는 경우’라는 말이 된다. 也가 者와 같다는 점은 앞에 나온 火就燥也의 也 부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 行은 체언으로, ‘행동’, ‘행위’다. ◈ 招는 용언으로, ‘초래하다’는 말이다. 여기서는 치욕을 ‘초래하다’는 말로 사용되었다. 辱을 받는다. ◈ 辱은 체언으로, ‘치욕’이다. ◈ 愼은 용언으로, ‘삼가다’, ‘조심하다’, ‘신중하다’라는 말이다. 명사구인 其所立을 받는다. ◈ 其所立의 其는 君子를 가리키는 지시대명사다. 所立을 받는다. ◈ 所는 ‘~하는 바’, ‘~하는 것’이다. 立을 받는다. ◈ 立은 용언으로, 아마 ‘임하다’, 일을 ‘맡다’, ‘관여하다’라는 말일 듯하다. 즉, 所立은 ‘임하는 바’, ‘맡은 바’, 즉 ‘소임’이 된다. 아마 君子가 맡아서 이행할 ‘일’, ‘정무’ 등을 포괄하는 표현일 것이다. 《史記》 「范睢蔡澤列傳」에 明主立政, ‘현명한 군주가 政에 立할 때에는’이라는 말이 있는데, 司馬貞은 按/戰國策立作莅也, ‘살펴 보면, 《戰國策》에는 立이 莅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戰國策》 「秦策」에는 明主莅正이라고 되어 있다. 여기서 莅는 ‘임하다’, ‘관여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본문에 대해, 楊倞은 所立/卽謂學也, ‘所立은 학문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학문을 배우다가 언행을 잘못했기로, 화나 치욕을 당하게 될까. 학문으로 한정하지 말고, 포괄적으로 해석하는 편이 좋겠다. ◈ 乎는 문장을 끝내는 조사다. 의미를 강조한다고 보면 좋겠다. ◈◈ 楊倞은 禍福如此/不可不愼所立, ‘禍나 福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이와 같으니, 立한 바에 조심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 蜀虎案 : 이 節에서 이 문단의 내용이 정리된다. 앞에 나왔던 인과에 대한 荀子의 이론을 이 문장에 대입해 보자. 荀子는 ‘言을 愼하지 않는 것’과 禍를 같은 類로 간주하고 있고, 또 ‘行을 愼하지 않는 것’과 辱을 같은 類로 간주하면서, ‘言을 愼하지 않’거나, ‘行을 愼하지 않’으면 그 결과로, 이들과 같은 類인 禍와 辱이 수반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반대로 言을 愼하거나, 行을 愼한다면 어떨까. 愼言과 愼行은 禍, 辱과 같은 類가 아니기 때문에, 그에 대한 결과로 禍, 辱을 초래하지 않게 될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勸善懲惡처럼, ‘좋은 행위에 좋은 결과가 오고, 나쁜 행위에 나쁜 결과가 온다’는 뜻에 가깝다 할 수 있겠다. 다만 荀子의 초점은 자기 수양과 학문에 맞춰져 있을 뿐이다. [본문으로]
반응형